본문 바로가기
금융정보

IRP 세액공제 한도와 공제율, 받는 금액(2023년 개정)

by y3papa 2023. 2. 10.

IRP 계좌는 투자금액에 대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데요. 노후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만든 정책 계좌이기 때문에 그만큼의 혜택을 줍니다. IRP 세액공제 한도, 공제율, 그리고 내가 받을 수 있는 금액을 살펴보겠습니다. 연금저축이 있으신 분들은 게시글 하단까지 확인 부탁 드리며, 한도가 통합된 부분까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내 세액공제 한도 확인하기

▶︎ 23년 이후
IRP 세액공제 한도가 23년부터 바뀌는데요. 23.1.1 이후 납입하는 분부터 적용됩니다. 나이와 소득에 상관 없이 900만 원으로 상향되었고, 연금저축 한도는 600만 원으로 상향됐습니다.

▶︎ 23년 이전
IRP 세액 공제 한도는 총 급여와 나이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세액 공제 한도는 총 급여에 따라 다음과 같이 결정됩니다. 총급여액이 1억 2000만 원을 초과하면 세액공제 한도는 700만 원입니다.

☞ 1억 5천만 원 이하: 700 or 900만 원
☞ 1억 2천만 원 초과: 700만 원

1억 5천만 원 이하일 경우에는 나이에 따라 다릅니다. 50세 미만이면 700만 원, 50세 이상이면 900만 원입니다.

☞ 1억 5천만 원 이하 세액공제 한도
     50세 미만, 700만 원
     50세 이상, 900만 원

총급여가 총소득금액을 기준으로 할 경우 금액기준이 변경됩니다. 5,500만 원 미만 ▷ 4,000만 원 미만, 1억 2,000만 원 미만 ▷ 1억 원 미만, 1억2,000만원 이상 ▷ 기준금액이 1억원 이상으로 내려갑니다. 50세 이상에 대한 공제 한도는 2002년 12월 31일까지 한시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기준이라고 합니다.

나의 세액공제율은?

세액공제율은 총 급여액에 따라 달라지는데,  23년 한해 동안 세금공제율은 변하지 않습니다. 총소득금액 기준은 23년부터 4,500만원 이하 15.0%, 4500원 초과 12.0%로 바뀝니다.

☞ 총 급여액 5,500만 원 이하: 15.0%
☞ 총급여액 5,500만원 초과: 12.0%

내가 공제받는 금액은?

세액 공제는 소득 공제와 다른데요. 소득세 공제는 과세 소득에서 공제됩니다. 산출된 세액에서 세액공제를 차감하고, 그에 상응하는 금액만큼 세액이 줄어듭니다. 총급여가 5,500만 원 미만이면 700만 원 X 15.0% = 105만 원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연금저축에 가입돼 있다면 어떻게 될까요??

연금저축을 하신다면 최대 900만 원(23년)의 세액공제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 세액공제 한도가 600만 원이기 때문에 IRP는 30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 세액공제율은 근로소득 5500만 원 이하 15.0%, 초과 12.0%로 IRP 계좌와 동일합니다. 연금 저축과 IRP는 모두 노후 자산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IRP 계좌는 ETF에 투자할 수 있기 때문에 투자 목적으로도 운용할 수 있습니다. 주식을 사고 싶은데 아직 그런 계좌가 없었는데요. 하지만 ETF도 좋은 수익을 낼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추후에 관련 ETF에 대한 포스팅도 추가하겠습니다.

나에게 세액공제만큼 중요한 투자수익~!!

 

IRP 계좌를 사용하는 이유는 세금 공제와 투자 수익률을 얻기 위해서입니다. 안전한 금융상품에만 넣을 수 있는데 아쉬울 수 있는데요. 지금 가지고 있는 자산을 할당하여 적절한 포트폴리오로 운영할 수 있는 방법도 있는데, 관련해서는 추후에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IRP 세액공제 한도, 공제율, 그리고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확인했습니다. IRP 계좌는 두 가지 유형 세금 혜택과 투자수익에 대한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좋은 제도이고, 노후 준비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