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짓기10 따뜻하고 시원한 패시브하우스 Passive House 따뜻하고 시원한 패시브하우스 Passive House 블로그를 오래전부터 시작했지만 요즘처럼 매일 글을 쓰지 못했습니다. 남자의 로망 마당과 다락이 있는 집에 대한 공부를 하다보니 오늘은 뭘 포스팅 하지에대한 기대감이 있어서 매일 포스팅을 하게 되는것 같습니다. 단독주택하면 춥다?라는 생각을 했었는데요. 단열을 꼼꼼히 하지 않으면 춥습니다. 아파트나 빌라에 비해 추울수 밖에 없죠. 오늘은 중요한 단열에 관련된 패스브하우스에 대해서 포스틍하려고합니다. 패시브하우스란 직접적인 난방설비의 도움없이 열이나 고기질을 쾌적하게 유지하는 건물을 의미합니다. 전문적으로 연간 면적당 난방에너지 요구량이 15kWh/m2 이하인 주택이어야 합니다. 건물을 고단열, 고기밀로 설계하고 폐열을 철저하게 회수한다면 가능합니다. 가.. 2020. 7. 31. 집짓기 비용 3가지 질문 집 짓기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하다 보니 또 집을 짓고 싶네요.ㅋ 건축업자가 아니고서야 자주 집을 지을 일은 없으니 아쉽네요. 집 지으려면 평당 얼마나 하나요? 대부분 평강 건축비는 순수 건축비만을 의미합니다. 건축 외에 들어가는 비용도 정리해보면 만만한 비용이 아닙니다. 집 지을 땅에 따라서 전용 비용이나 토목공사도 있고, 그 외에도 돈 들어갈 때는 많습니다. 내가 원하는 스타일도 있고 어떤 자재를 쓸지에 대해서도 각기 다르니 평당 건축비용은 너무도 다양하다는 답변밖에 없을 것 같네요. 중소형 시공업체들에서 고객들이 편의상 평간 건축비를 대략적으로 제시하지만, 자재를 변경하고 스타일도 조금씩 변경하다 보면 추가금이 이리저리 붙어서 평당 500만 원짜리 플랜을 선택했다고 해도 최종적으로 들어가는 돈은 60.. 2020. 7. 30. 모양과 방향이 중요한 땅 고르는 7가지 방법 땅의 모양과 방향이 중요 대지의 모양은 건축 시 설계를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집 내부의 밝기를 좌우하는 상당히 중요한 부분입니다. 건축주가 원하는 집의 형태가 대지의 모양에 맞게 지어져야 하므로 때로는 이런 점을 고려하여 대지를 구입해야 합니다. 전체적으로 반듯한 대지이면 설게 계획을 잡는데 큰 문제가 없습니다. 임야 및 시골 땅이 아니고서야 수도권에서 토지를 매입한다면 구획을 해서 네모반듯한 땅을 살 수 있습니다. 단점은 구획이 된 땅은 비쌉니다. 그리고 방향은 대체적으로 동남향이 좋습니다. 일조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내부의 방이나 거실을 배치할 때도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여름은 시원하고 겨울엔 따뜻한 집이 됩니다. 불가피하기 북향 땅을 매입하게 됐다면, 내부 배치를 남향을 바라보게 하는 등.. 2020. 7. 29. 좋은 땅 이것만은 확인하자 많은 사람들이 집을 지을 때 가장 먼저 생각하는 것은 막연하게 생각하고 있는 언덕 위에 집? 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강이 흐르고 뒤에는 산이 있는 배산임수형의 언덕위에 집... 하지만 그런 땅을 구하기는 상당히 힘듭니다. 그런 땅이 나왔다고 해도 상당한 가격을 줘야 할 것입니다. 땅을 매입하기 전에는 실제로 가장 중요하게 보아야 할 것은 나의 삶의 패턴과 잘 맞는지를 생각해 봐야 합니다. 집짓기 좋은 땅, 이것만은 확인하자 땅을 구입하기 전 꼭 확인해야 하는 것들 여러 가지로 따져보아서 100퍼센트 내 마음에 드는 쌍을 찾기란 너무 힘듭니다. 몇 가지 확인해할 사항을 정리해서 포스팅하니 참고하셔서 좋은 땅을 매입하시기 바랍니다. 1) 주변 주민들의 성향, 주변 매매가를 파악 도심에서 분양하는 토지는 .. 2020. 7. 28. 목조주택 단열이 가장 중요해요.^^ 지금 살고 있는 집 지으면서 공부했던 자료 정리해서 포스팅 합니다. 목조주택 단열이 가장 중요해요.^^ 건축용어에 자주 쓰이는 열관류율과 열전도율 그리고 열저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렵게 생각하면 어려울 수 있겠지만 단위를 자세히 보시면 이해하시기 쉬울거라 생각이 듭니다. 이것들을 알면 집 지을때 골조 선택시 용이하며 단열재나 창호 선택에 있어서 도움이 많이 됩니다. 먼저 열관류율을 알기 전에 열전도율과 열저항에 대해 먼저 알게 되면 열관류율을 이해하는데 더 쉬울 것 같습니다. 열전도율 - 두께가 1m인 재료의 열전달 특성이며 단위는 W/mk 혹은 Kcal/mh℃로 표현합니다. 여기서 k=℃로 이해 하시면 됩니다. 이것을 쉽게 표현하자면 1m두께의 시간당 1℃ 올리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말합니다.. 2020. 6. 20. 집짓기 평당단가 오해와 진실 집짓기 공부를 하면서 평당 단가에 대한 오해와 진실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봅니다. 집짓기 평당단가 오해와 진실 위 사진의 건축물은 세계 적적인 건축가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1867 - 1959)의 걸작 "낙수장(Fallingwater)"입니다 미국 펜실베이나주 베이런 강 한가운데에 있는 이 건축물은 자연과 사람이 하나 됨을 추구한 작품으로 미국건축가협회가 "가장 중요한 미국 건축"으로 선정하기도 한 건축물입니다. 집짓기 공부를 하면서 세계적인 건축가의 건물 중 인상깊었던 건축물입니다. 이런 곳에 살면 좋겠지만 불안할 것 같기도 합니다. 이 정도 집을 지으려면 얼마나 들까?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저도 집을 짓기 전까지는 평당 단가에 대해서 많이 물어보면서 업체를 찾아다녔습니다. 흔히 듣는 우리 집은 평당 .. 2020. 6. 10. 이전 1 2 다음